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보드 만들기
보드 만들기 카테고리
보드 만들기 본문
-
보드는 뷰 에디터의 다양한 콘텐츠를 나만의 관점과 취향으로 모으는 새로운 창작 단위입니다.카카오 뷰의 에디터라면 다양한 플랫폼에 흩어진 콘텐츠를 하나의 주제로 묶어 보드에 '큐레이션' 할 수 있습니다.
-
보드 운영정책에 위배되는 콘텐츠가 아니라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의 콘텐츠를 담을 수 있습니다.보드에는 연동 서비스 콘텐츠를 불러와 담거나, 콘텐츠 링크를 직접 입력하여 담을 수 있습니다.먼저 서비스 프로필을 연동하면 콘텐츠를 불러올 수 있으며, 제목을 검색하여 콘텐츠를 탐색하고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연동 가능한 카카오 서비스- 브런치, 카카오TV, 카카오TV 라이브, 티스토리, 다음뉴스, 콘텐츠뷰, 카카오톡 채널◼︎ 연동 가능한 카카오 외 서비스- 인스타그램, 유튜브또한 '링크 직접 입력'으로 콘텐츠의 URL을 직접 입력하여 언제든 자유롭게 콘텐츠를 담을 수 있습니다.
-
카카오 뷰의 보드는 나만의 관점을 가진 창작자라면 누구나 보드를 발행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뷰 창작센터 > 개별 창작센터의 [대시보드] 또는 [보드] 메뉴 상단의 [ + 새 보드 만들기 ] 버튼을 눌러 보드 에디터에서 보드를 발행하실 수 있습니다.
- 카카오 뷰 창작센터 웹페이지(https://creators.kakao.com/)
- 카카오톡 모바일앱(v10.1.5 이후 버전) → 더보기탭 → 카카오 뷰 → 우측 상단 [설정] 아이콘 → [내 활동 관리]
- 카카오톡 모바일앱(v9.4.5 이후 버전) → 내 채널 홈 → [보드] 탭 → 창작센터 바로가기
- 카카오톡 모바일앱(v9.4.5 이후 버전) → 내 채널 홈 → [보드] 탭 → [더보기] > 보드 관리하기 -
보드 발행 방법은 크게 4단계로 나뉩니다.
STEP 1. 보드 제목과 설명 입력하기
- 보드 에디터에서 발행할 보드에 나만의 관점을 담은 제목과 설명을 작성하세요.
STEP 2. 템플릿을 선택하고 콘텐츠를 담기
- 보드에 담을 내 콘텐츠나 외부 콘텐츠 링크(URL)를 추가하세요.
STEP 3. 오픈채팅/톡캘린더 추가하기
- 오픈채팅과 캘린더로 사용자와 더 긴밀히 소통해보세요.
STEP 4. 보드 발행하기
- [임시 저장] 버튼을 눌러 나중에 보드를 발행하거나, [발행하기] 버튼을 눌러 카카오 뷰 서비스에 내 보드를 바로 발행해보세요.※ 참고 : 채널당 보드는 하루 10개까지 발행하실 수 있으며 해당 날짜에 발행 예약된 보드도 포함됩니다.
더 자세한 보드 발행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뷰 에디터가 발행한 보드는 카카오 뷰(발견/My뷰)과 내 채널 홈의 보드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더보기탭 > 뷰 > 발견
- 사용자가 내 보드를 발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내 보드가 추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더보기탭 > 뷰 > My뷰
- 사용자가 친구 추가한 채널의 보드만 노출되는 공간으로, 채널 별로 최근 발행한 보드 1개가 노출됩니다.- 보드 > 발행한 보드 > 발행순으로 조회 시 My뷰에 노출되는 보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채널 홈의 '보드' 탭- 지금까지 공개 발행한 보드가 모두 노출됩니다.- 다만, 아직 발행한 보드가 없다면 ‘보드’를 기본 탭으로 설정해도 채널 프로필에 보드탭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
보드 에디터 우측의 ‘콘텐츠 담기’ 영역에서 보드에 콘텐츠를 추가하실 수 있으며,
하나의 보드에는 콘텐츠를 최대 10개까지 담을 수 있습니다.[연동 서비스] 탭에서 마스터의 카카오계정에 연동된 서비스를 클릭해 연동된 콘텐츠를 담거나,[링크 직접 입력] 탭에서 보드에 담고 싶은 콘텐츠의 URL을 직접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이때 보드에 담은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제목은 웹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와 타이틀을 추출하여 반영합니다.따라서 보드 에디터에서 수정은 불가하며, 수정을 원할 경우 해당 서비스에서 직접 콘텐츠 정보를 수정해 주세요. -
네, 마스터가 서비스를 연동하면 매니저도 마스터가 연동한 계정의 콘텐츠를 보드에 추가해 발행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여러 사람이 관리하는 채널이라면 마스터의 공식 프로필 계정을 연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드 에디터에 작성한 보드 제목과 설명은 언제든 수정이 가능하지만, 보드 내 콘텐츠의 정보는 임의로 수정할 수 없습니다.보드에 담긴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와 제목은 원출처의 웹페이지 정보(오픈 그래프)를 자동으로 불러옵니다.이는 원 콘텐츠의 저작권을 존중함과 동시에 콘텐츠의 무단 수정 및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카카오 뷰의 정책에 따른 것입니다.만약 '뷰 에디터 본인 콘텐츠' 의 썸네일 이미지와 제목을 수정하고 싶다면 해당 콘텐츠가 있는 플랫폼에서 콘텐츠 내용을 직접 수정해 주세요.콘텐츠를 수정할 경우, 보드에서 콘텐츠를 삭제한 후 다시 추가해야 해당 콘텐츠의 상태가 보드 에디터에 업데이트됩니다.
-
보드의 콘텐츠 순서는 자유롭게 바꾸실 수 있습니다.에디터 영역에서 이동시킬 콘텐츠 왼쪽 아이콘을 눌러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콘텐츠 오른쪽 아이콘을 눌러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단, 이미지를 강조하는 빅 썸네일형과 투 썸네일형 템플릿을 적용한 보드는 강조할 영역에 썸네일이 포함되어야 합니다.빅 썸네일형 1번째 콘텐츠와 투 썸네일형 1, 2번째 콘텐츠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썸네일이 포함된 콘텐츠를 배치해 주세요.◼︎ 보드 템플릿 별 순서 이동- 텍스트 리스트형 : 썸네일 유무 상관없이 이동 가능- 썸네일 리스트형(기본) : 썸네일 유무 상관없이 이동 가능- 빅 썸네일형 : 1번째 콘텐츠에 썸네일을 포함해야 함, 그 외 이동 가능- 투 썸네일형 : 1, 2번째 콘텐츠에 썸네일을 포함해야 함, 그 외 이동 가능
-
보드에 담은 콘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콘텐츠와 어울리는 보드 템플릿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하나의 보드에는 최대 10개까지 콘텐츠를 담을 수 있습니다.◼︎ 보드 템플릿 특징- 텍스트 리스트형: 텍스트 중심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썸네일 리스트형(기본): 이미지 썸네일이 삽입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빅 썸네일형: 강조하고 싶은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 1개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투 썸네일형: 강조하고 싶은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 2개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