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보드 만들기
보드 만들기 카테고리
보드 만들기 본문
-
보드 에디터 하단의 보드 템플릿 아이콘을 눌러보세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보드 템플릿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드 템플릿 이용 방법- 보드 템플릿은 텍스트 리스트형 / 썸네일 리스트형 / 빅 썸네일형 / 투 썸네일형이 제공됩니다.- 보드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면 보드 에디터 화면의 콘텐츠 영역 템플릿이 변경됩니다.- 콘텐츠가 추가된 상황에서 템플릿을 변경해도 입력된 콘텐츠는 유지됩니다.- 콘텐츠를 담은 후에도 모든 콘텐츠의 순서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참고 : 빅 썸네일형, 투 썸네일형 템플릿은 1,2번째 순서로 추가된 콘텐츠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 썸네일이 필요합니다.
-
보드 템플릿이 빅 썸네일/투 썸네일형 템플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단에 배치된 콘텐츠에 이미지 썸네일이 포함되지 않아 생기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빅 썸네일형의 1번째 콘텐츠, 투 썸네일형의 1, 2번째 콘텐츠는 이미지나 동영상이 포함되어야 합니다.썸네일 이미지가 포함된 콘텐츠로 상단 콘텐츠 순서를 조정한 후 삭제해 주세요.
-
연동 서비스 프로필의 콘텐츠는 ‘전체 공개’ 상태로 조회 가능한 콘텐츠를 불러옵니다.원하는 콘텐츠를 찾을 수 없을 경우 먼저 콘텐츠의 공개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간혹 연동 서비스의 API 호출량 제한이나 오류 등으로 콘텐츠 목록을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경우 별도의 조치 없이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정상화됩니다.혹시 장시간 지연될 경우 카카오 뷰 창작센터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시면 빠르게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정상화 전까지는 번거로우시더라도 ‘콘텐츠 담기’ 영역의 [링크 직접 입력] 버튼을 눌러 보드에 담으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직접 링크 입력] 으로 보드에 콘텐츠를 담을 경우, 콘텐츠의 제목과 썸네일은 해당 서비스의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와 타이틀, 설명을 추출하여 보여집니다.만약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없을 경우, ‘제목없음’ 이라는 문구를 기본 제목으로 제공합니다.※ 참고 : 인스타그램 콘텐츠는 게시글 본문을 수정하면 콘텐츠의 타이틀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내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보드에 담을 경우 '제목없음' 이라는 문구만 나온다면 인스타그램에서 해당 콘텐츠 본문 내용을 추가해보세요.인스타그램은 이미지의 본문이 콘텐츠의 제목이 됩니다. 따라서 본문을 업데이트하면 보드에 불러오는 콘텐츠 제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수정할 경우, 보드에서 콘텐츠를 삭제한 후 다시 추가해야 콘텐츠의 상태가 보드 에디터에 업데이트 됩니다.
-
원 콘텐츠의 삭제, 수정, 규제 등 보드에 담은 원래 콘텐츠의 이슈로 인해 웹페이지 정보를 불러오지 못할 경우 '알 수 없는 콘텐츠입니다' 라는 문구가 노출됩니다.
-
기존에 발행했던 보드의 콘텐츠를 다시 추가하고 싶다면 보드 에디터 오른쪽 상단의 [보드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보세요.[보드 불러오기]로 언제든 기존 보드의 콘텐츠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보드 불러오기 이용 방법- 보드 에디터의 [보드 불러오기] 버튼 클릭 후, 보드 제목을 검색하여 기존에 발행된 보드 리스트를 확인합니다.- 기존에 발행된 보드 중 1개를 선택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불러오기] 를 선택하면 선택한 보드의 템플릿과 콘텐츠를 새로운 보드에 추가합니다.- 예약 발행, 임시 저장된 보드는 제외됩니다.
-
보드 에디터 > 화면 상단의 [미리보기] 아이콘 또는 보드 목록 > 보드별 [미리보기] 아이콘을 누르면, 발행한 보드의 모바일 화면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다만, 실제 화면은 휴대폰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발행 설정 시, 해당 보드를 서비스에 공개/비공개 노출할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공개로 설정하면 카카오톡 더보기탭 > 카카오 뷰, 내 채널 홈 등 보드가 노출되는 서비스 영역에 보드가 공개됩니다.
비공개로 설정하면 발행된 보드는 서비스 영역에 노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보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보드를 즉시 발행하거나, 원하는 시점에 예약하여 발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내 보드와 어울리는 카테고리가 있다면, 최대 2개의 관련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보드의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보드를 쉽게 탐색할 수 있으며, 내 보드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에게 내 보드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내 보드에 해당되는 카테고리가 있다면 꼭 선택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