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광고관리
광고관리 카테고리
광고관리 본문

카카오톡 채팅목록 탭의 메가 트래픽을 바탕으로 한 광고를 노출합니다.
다음 지면에 방문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쇼핑몰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5. 동영상
카카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면에 동영상 광고를 노출합니다.
카카오의 영상 콘텐츠에 최적의 타게팅을 통한 광고로 높은 퍼포먼스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6. 스폰서드 보드
카카오톡 뷰탭에서 콘텐츠로 구성된 보드를 활용하여 광고를 노출합니다.
카카오 뷰 창작센터에서 만든 보드는 광고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습니다.
[광고 목표]
[광고 유형별 선택 가능한 목표]
- 디스플레이 : 방문, 전환
- 카카오 비즈보드 : 방문, 전환, 도달
- 카카오톡 채널 : 도달
- 다음쇼핑 : 도달
- 동영상 : 조회
- 스폰서드 보드 : 방문
전환 목표는 광고주의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을 구매 또는 참여, 설치 등의 행동으로 전환을 유도합니다.
전환 가능성이 높은 대상에게 최적화된 광고를 노출하는 카카오의 기술이 제공됩니다.
디스플레이, 카카오비즈보드에서 [광고 목표 :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캠페인 > 광고 목표 대상
1) 픽셀&SDK
픽셀&SDK를 선택 후 최적화할 전환 종류(구매/앱설치/회원가입/잠재고객/서비스신청/장바구니) 설정
- 구매 : "구매/톡구매"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 앱설치 : "앱설치"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 회원가입 : 회원가입/톡가입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 잠재고객 : 잠재고객/톡참여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사전예약, 상담신청, 시승신청, 대출한도조회, 보험료조회 태그 지원)
- 서비스신청 : 서비스신청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서비스가입, 구독완료, 카드발급, 계좌계설, 대출신청 태그 지원)
- 장바구니 : 장바구니 보기/장바구니 추가/관심상품 추가 사용자를 늘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광고 노출
2) 카카오톡 채널
카카오톡 채널 구독자수 증가 목표로 광고 집행 시 광고 대상을 카카오톡 채널로 설정
2. 광고그룹 > 집행대상 설정
1) 광고 목표 대상 : 픽셀&SDK
- 전환 목적 캠페인은 광고 목표 대상으로 설정된 픽셀&SDK를 기반으로 전환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를 찾아 자동으로 광고가 노출되므로 예상모수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내 데이터(픽셀&SDK, 고객관리파일), 데모그래픽만 설정 가능
2) 광고 목표 대상을 카카오톡 채널로 선택 시
- 전체 타겟팅 활용 가능
- 카카오톡 채널 구독자 자동 제외 타겟팅
3) 게재지면 및 디바이스 설정
3. 광고그룹 > 집행 전략 설정
1) 입찰방식 : 자동입찰 디폴트 설정
2) 일예산 : 10,000원 이상~ 캠페인 일예산 이하(최대 10억원)으로 설정
3) 집행기간 : 일자/요일 및 시간 노출 설정
카카오비즈보드x방문 캠페인은 카카오 사용자에게 내 브랜드를 임팩트 있게 홍보할 수 있으며,
카카오비즈보드x전환 캠페인은 내 브랜드에 관심이 높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클릭 및 전환 최적화된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비즈보드X방문]
1. 전환 추적 설정 : 전환 추적할 픽셀&SDK 선택 (미설정 가능)
2. 집행대상 설정 : 데모그래픽 및 맞춤타겟 전체 설정가능
3. 디바이스/게재지면 설정 : 모바일 / 카카오톡, 다음, 카카오서비스
4. 집행 전략 설정 : 수동입찰(CPC,CPM), 자동입찰(CPC)/일예산 /집행기간설정/게재방식
[카카오비즈보드X전환 > 픽셀 &SDK로 광고 최적화]
1. 광고 목표 설정 : 픽셀 & SDK선택 후 최적화할 이벤트 종류 설정
2. 집행대상 설정 : 내 데이터(픽셀&SDK, 고객관리파일), 데모그래픽만 설정 가능
3. 디바이스/게재지면 설정 : 모바일 / 카카오톡, 다음, 카카오서비스
4. 집행 전략 설정 : 자동입찰(CPC)/일예산 /집행기간설정
[카카오비즈보드X전환 > 카카오톡 채널로 광고 최적화]
1. 광고 목표 설정 : 내 카카오계정에 연동 된 카카오톡 채널 선택
2. 집행대상 설정 : 맞춤타겟, 데모그래픽 설정
ㄴ 광고목표 대상으로 선택한 카카오톡 채널은 광고그룹 맞춤타겟에서 "제외"로 자동 설정됩니다.
3. 디바이스/게재지면 설정 : 모바일 / 카카오톡, 다음, 카카오서비스
4. 집행 전략 설정 : CPA, CPC, CPM, 자동입찰 /일예산 /집행기간설정
[카카오비즈보드x도달]
1. 전환 추적 설정 : 전환 추적할 픽셀&SDK 선택 (미설정 가능)
2. 집행대상 설정 : 데모그래픽 설정
3. 디바이스/게재지면 설정 : 모바일 / 카카오톡, 다음, 카카오서비스
4. 집행 전략 설정 : 수동입찰(CPM), 자동입찰(CPC)/일예산 /집행기간설정/게재방식
전환' 목표 캠페인 생성 시 광고 목표 대상에서 픽셀&SDK를 선택하시면 최적화 할 전환 종류 설정 가능하며, 픽셀&SDK에 수집 된 지표를 기반으로 광고를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광고 목표에 맞는 전환 이벤트를 적극 활용하여 광고 효율 극대화를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환 종류 구분]
[전환 대상 별 이벤트 그룹핑]
타겟 상태가 '전환 최적화 기준 부족' 이라고 나오는 것은
최근 30일동안 픽셀 & SDK를 통해 유입된 구매 식별자가 300개 이하, 최근 30일 구매 식별자가 전체 식별자 대비 40% 이상인 경우입니다.
그 이상의 경우 구매 이벤트가 비정상적으로 설치되었거나, 방문 이벤트가 사이트 전반에 설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X전환 캠페인 생성 후 최적화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 경우,
광고집행이 중단되지 않지만 캠페인 생성 당시보다 부족한 조건으로 인해 최적화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카카오비즈보드는 방문과 전환 목표가 제공됩니다.
전환 목표로 캠페인 생성 시 픽셀 & SDK 연동이 필수이므로 사전에 준비를 완료해 주세요.
방문 목표에서 픽셀&SDK 연동은 선택 사항 입니다.
카카오톡(톡스토어/선물하기/카카오톡 채널)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시다면,
톡 서비스와 픽셀&SDK 연동이 지원되고 있으므로 가이드를 참고하셔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 광고주 웹사이트 및 앱에 카카오 픽셀&SDK 설치 방법은 아래 자료를 통해 참고해주세요.
카카오톡 채널 친구를 늘리고 싶다면, 카카오모먼트의 다양한 광고를 운영해 보세요.
■ 카카오비즈보드로 카카오톡 채널 친구 늘리기
소재만들기에서 랜딩 URL 유형을 URL로 선택하고 카카오톡 채널 홈 URL 주소 뒤에 /friend를 붙여서 작성해주세요.
단, 위와 같이 설정 시 맞춤보고서에서 친구 추가수는 별도 집계되지 않습니다.
■ 비즈니스폼 활용하기
생성한 비즈니스폼을 카카오비즈니스 플랫폼에서 광고 소재, 메시지 랜딩으로 설정하여 집행해보세요.
비즈니스폼 참여 시작 화면에서 카카오톡 채널이 선택동의 항목으로 제공됩니다.
사용자가 비즈니스폼으로 톡 안에서 이벤트를 참여할 때 자연스럽게 채널추가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모먼트에서는 카카오비즈보드 랜딩, 애드뷰의 버튼, 메시지광고의 버튼 유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쇼핑박스 광고는 통신판매업신고 업체 및 광고주에 한하여 집행 가능합니다.
일예산은 '캠페인'과 '광고그룹'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정 메뉴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예산은 캠페인에 설정되어 있다면, 속해 있는 광고그룹의 소진금액이 캠페인의 '허용예산'에 도달하는 경우 캠페인 하위의 광고는 모두 중지됩니다.
예) 캠페인 A의 일예산은 20만원이고, 하위 (가), (나) 광고그룹은 각각 일예산을 15만원, 15만원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때, 각 광고그룹의 일예산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가)광고그룹과 (나)광고그룹의 소진된 비용의 합이 20만원일 경우 해당 캠페인의 광고는 모두 중지 처리 됩니다.
※ 광고그룹 일예산은 캠페인 일예산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광고그룹마다 타겟팅 설정을 통해 노출을 조절하여 초기에 광고비가 모두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