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상품별 입찰 및 과금방식이 궁금합니다.
카카오모먼트는 캠페인, 광고그룹 설정에 따라 CPC, CPM, CPA, CPMS, CPT 과금방식으로 나눠집니다.

광고유형목표별 과금방식

- CPC (Cost per Click) 
: 광고를 클릭한 경우에 과금되며, 실시간으로 광고 입찰 경쟁에 참여하여 탄력적 광고 운영이 가능합니다.

- CPC 자동입찰
: 광고그룹 일예산 내 최대한 많은 클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입찰금액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광고그룹 일예산을 과도한 금액으로 설정한 경우 입찰가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으므로, 목표로 하는 광고그룹 일예산 설정이 중요합니다.

※ CPC 비용 목표 설정 (선택사항)
: 디스플레이, 비즈보드 유형의 방문(입찰방식 : 자동입찰) 캠페인에만 제공됩니다.
설정한 클릭당 비용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광고가 운영됩니다. 
다만, 광고 효율 최적화를 위해 자동으로 입찰이 조정되면서 일부 결과 비용은 설정한 금액을 초과하거나 미달할 수 있습니다.

※ CPA 비용 목표 설정 (선택사항)
: 디스플레이, 비즈보드 유형의 전환 목표 캠페인에 제공됩니다.
목표하는 CPA 평균 비용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지만, 광고 효율 최적화를 위해 자동으로 입찰이 조정되면서 일부 결과 비용은 설정한 금액을 초과하거나 미달할 수 있습니다.

- CPM (Cost Per Mile) 
: 1,000회 노출당 과금되는 방식으로, 노출을 기준으로 입찰 경쟁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 CPA (Cost Per Action) 
: 디스플레이, 비즈보드 유형의 전환(광고 목표 설정: 카카오톡 채널) 캠페인에만 제공됩니다.
클릭으로부터 24시간 이내 발생한 전환(친구 추가)에 대해서 과금되는 방식입니다.

- CPMS (Cost Per Message) 
: 카카오톡 채널X도달 캠페인을 통해 메시지 발송 시 발송 건당 과금됩니다.

- CPT (Cost per Time) 
: 설정된 기간 단위(구좌)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실제 노출과 관계없이 기간이 지나면 항상 과금됩니다.

- CPV (Cost Per View)
: 동영상 1회 재생당 과금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