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더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OBS 편)

[카카오TV 인코더 설정]

카카오TV '인코더 방송하기' 페이지에 진입해, 방송할 내용을 저장합니다. 

- 방송제목(필수), 방송설명 등 방송 정보를 입력합니다.

- 스트림키와 서버 URL을 복사합니다.

해당 정보는 인코더와 카카오TV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스트림키는 방송 인증값으로 유출 시, 타인이 임의로 내 방송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유의해 주세요.


[인코더 연결 및 방송 송출]

1) OBS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 

OBS 다운로드 화면


2) OBS에서 송출을 위한 인코더 설정을 합니다.

- '파일 > 설정 > 출력'에서 진행합니다.

- 인코더 선택에 따라 권장 설정값을 달라집니다. 


2-1) 인코더 x264 선택시

- 프로파일 : baseline (main, high 프로파일 선택시 iOS 에서 원본 스트림 화면이 깨질 수 있습니다)

- 데이터율 제어 : CBR

- 키프레임 간격 : 2s

- 그 외 설정 기본설정을 따릅니다.

OBS 설정 화면


2-2) 인코더 NVIDIA NVENC H.264 선택시 (nvidia H/W 인코더 옵션)

- 데이터율 제어 : CBR

- 키프레임 간격 : 2

- 사전 설정 : P4:보통

- 멀티패스 모드 : 2패스(1/4해상도)

- 프로파일 : baseline

- 수준 : auto

- GPU : 기본값

- 최대 B-프레임 : 기본값

NVENC H.264 선택시 권장 옵션 선택 화면


2-3) 인코더 QuickSync H.264 선택시 (Intel H/W 인코더 옵션, 컴퓨터 BIOS/CMOS 설정에서 내장 그래픽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 데이터율 제어 : CBR

- 목표 사용 수준 : TU4 : 균형

- 프로파일* : baseline

- 키프레임 간격 : 2

QuickSync H.264 선택시 권장 옵션 선택 화면


2-4) 인코더 AMD HW H.264 선택시 (AMD H/W 인코더 옵션)

- 데이터율 제어 : CBR

- 키프레임 간격 : 2

- 사전 설정 : 균형

- 프로파일 : baseline

- 최대 B-프레임 : 기본값

AMD HW H.264 선택시 권장 옵션 선택 화면


3) OBS에서 송출을 위한 기본 설정(해상도와 프레임수)을 합니다.

- '파일 > 설정 > 비디오'에서 진행합니다.

비디오 메뉴 내 기본설정 항목이 노출된 화면


4) OBS에서 카카오TV 스트림 키를 설정합니다. (파일 > 설정 > 방송 > 서비스 > kakaoTV)

- 서버 :  Default

- 스트림 키 : 카카오TV '인코더 설정'에서 발급 받은 '스트림 키'를 입력합니다.

방송 메뉴 내 스트림키 입력 표시된 화면


5) 방송에 맞는 소스내용을 화면에 띄웁니다. (하단 메뉴 소스목록 > 소스추가 > 소스) 


- 게임 캡쳐

게임 중인 화면을 보여줍니다. 인코더마다 게임 방송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기능들을 조금씩 다르게 지원합니다.


- 디스플레이 캡쳐

내 모니터 화면 내용을 그대로 노출합니다.


- 미디어 소스

미디어 파일을 보여줍니다. 동영상 또는 오디오 파일 등을 재생합니다.


- 브라우저

웹 페이지 화면을 띄우게 됩니다. 웹 페이지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 비디오 캡쳐 장치

별도 카메라 장치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불러와 띄울 수 있습니다.


- 오디오 입/출력 캡쳐

별도 오디오 장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를 불러와 입출력 할 수 있습니다.


소스목록 좌측 하단 + 선택, 관련 메뉴바가 확인된 화면


6) 카카오TV에 방송을 송출합니다. (하단 메뉴 제어 > 방송시작)  카카오TV에서 라이브 방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어>방송시작 버튼이 선택된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