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보고서에서 제공하는 지표 항목이 궁금합니다.

카카오모먼트 관리자센터 보고서에서 제공하는 지표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용 지표 

- 비용 : 지출된 광고비로 부가세는 포함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 도달 지표

- 도달수 : 광고를 한번 이상 본 사람 수(Unique 식별자 기준)

- 도달당 비용 : 비용을 도달수로 나눈 값(도달당 비용=비용/도달수)


■ 기본 지표 : 카카오톡 채널X도달 외 모든 캠페인에서 제공

- 노출수 : 광고가 노출된 횟수를 의미(카카오 비즈보드, 디스플레이, 스폰서드 보드, 동영상 광고 유형(인스트림은 1초)에서 광고 영역의 50% 이상 & 게재지면에 1초 이상 노출되었을 때 1회 집계)

- 클릭수 : 광고가 클릭된 횟수를 의미(유효한 클릭 즉 광고 효과가 있는 클릭에 한해 집계되며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클릭 중 더블클릭 등과 같은 오클릭, 인위적인 반복 클릭 등 무효 클릭들을 제외하여 집계)

- 클릭률 : 클릭수를 노출수로 나눈 값(클릭률(%)=클릭수/노출수 X 100)

- 재생수 : 광고가 3초 이상 재생된 횟수

- 노출당 비용 : 비용을 노출수로 나눈 값(노출당 비용=비용/노출수)

- 클릭당 비용 : 비용을 클릭수로 나눈 값(클릭당 비용=비용/클릭수)

- 재생당 비용 : 비용을 동영상 재생수로 나눈 값(재생당 비용=비용/재생수)


■ 발송 지표 : 카카오톡 채널X도달 캠페인에서만 제공

- 발송수 :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발송된 실시간 누적수

- 발송 실패수 :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발송 실패된 누적수

- 열람수 : 채팅방에 진입하여 내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 수

- 전체 클릭수 : 메시지에서 발생한 전체 클릭수

- 전체 재생수 : 전체 메시지 소재 유형에 동영상이 재생된 횟수

- 발송당 비용 : 비용을 발송수로 나눈 값(발송당 비용=비용/발송수)

- 열람당 비용 : 비용을 열람수로 나눈 값(열람당 비용=비용/열람수)

- 전체 클릭당 비용 : 비용을 전체 클릭수로 나눈 값(전체 클릭당 비용=비용/전체 클릭수)

- 전체 재생당 비용 : 비용을 메시지 전체 재생수로 나눈 값(재생당 비용=비용/전체 재생수)

- 열람률 : 열람수를 발송수로 나눈 값(열람률=열람수/ 발송수 X 100)

- 메시지 클릭률 : 메시지에서 발생한 전체 클릭수를 열람수로 나눈 값(메시지 클릭률=전체 클릭수/열람수 X 100)


■ 픽셀 & SDK 전환 지표(1일/7일)

- 회원가입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회원가입수

- 회원가입당 비용: 비용을 회원가입으로 나눈 값(회원가입당 비용=비용/회원가입)

- 회원가입률 : 회원가입을 클릭수로 나눈 값(회원가입률 = 회원가입/클릭수 x 100)

- 장바구니 열람 : 광고 클릭 후 장바구니를 확인해본 횟수

- 장바구니 열람당 비용 : 비용을 장바구니 열람으로 나눈 값(장바구니 열람당 비용=비용/바구니 열람)

- 장바구니 열람률 : 장바구니 열람을 클릭수로 나눈 값(장바구니 열람률= 장바구니 열람/클릭수 x 100)

- 구매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구매건수

- 구매당 비용 : 비용을 구매로 나눈 값(구매당 비용=비용/ 구매)

- 구매율 : 구매를 클릭수로 나눈 값(구매율 = 구매/클릭수 x 100)

- 구매금액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구매비용

- 잠재고객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잠재고객수

- 잠재고객당 비용 : 비용을 잠재고객으로 나눈 값(잠재고객당 비용=비용/잠재고객)

- 잠재고객률 : 잠재고객을 클릭수로 나눈 값(잠재고객률=잠재고객/클릭수 x 100)

- 서비스 신청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서비스신청수

- 서비스신청당 비용 : 비용을 서비스신청으로 나눈 값(서비스신청당 비용=비용/서비스신청)

- 서비스신청률 : 서비스신청을 클릭수로 나눈 값(서비스신청률=서비스신청/클릭수 x 100)

- 앱설치 :광고 클릭 후 발생한 앱 설치수

- 앱설치당 비용 : 비용을 앱설치로 나눈 값(앱설치당 비용=비용/앱설치)

- 앱설치율 : 앱설치를 클릭수로 나눈 값(앱설치율=앱설치/클릭수 x 100)

- 관심상품추가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관심상품추가수

- 관심상품추가당 비용 : 비용을 관심상품추가로 나눈 값(관심상품추가당 비용=비용/관심상품추가)

- 관심상품추가율 : 관심상품추가를 클릭수로 나눈 값(관심상품추가율=관심상품추가/ 클릭수 X 100)

- 장바구니추가 : 광고 클릭 후 발생한 장바구니추가수

- 장바구니추가당 비용 : 비용을 장바구니추가로 나눈 값(장바구니추가당 비용=비용/장바구니추가)

- 장바구니추가율 : 장바구니추가를 클릭수로 나눈 값(장바구니추가율=장바구니추가/클릭수 X 100)


■ 카카오친구 지표(1일/7일) : 전환 목표 하위 '채널 친구 추가' 선택한 캠페인에서만 제공

- 친구 추가수 : 광고 클릭 후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한 친구수

- 친구 추가 수당 비용 : 비용을 친구 추가 수로 나눈 값(친구 추가 수당 비용= 비용/친구 추가 수)

- 친구 추가율 : 친구 추가수를 클릭수로 나눈 값(친구 추가율=친구 추가수/클릭수 X 100)


■ 동영상 지표 : 디스플레이 및 동영상 캠페인에서만 제공

- 자동 재생수 : 동영상이 자동 재생된 횟수

- 터치 재생수 : 동영상이 터치 재생된 횟수

- 사운드 ON수 : 스피커 버튼을 선택해서 사운드를 활성화한 횟수

- N초 재생수 : 동영상이 N초 재생된 횟수(N= 5초, 10초, 15초, 30초, 60초)

- N% 재생수 : 동영상이 N% 재생된 횟수(N= 25%, 50%, 75%, 100%)


■ 슬라이드 지표 : 카탈로그 유형 소재가 등록된 캠페인에서만 제공

- 슬라이드N 클릭수 : 카탈로그형 소재의 N번째 슬라이드가 클릭된 횟수(N=1~10)

- 기타 클릭수 : 카탈로그형 소재의 프로필 이미지 등 슬라이드 이외 영역이 클릭된 횟수


■  메시지 지표 : 카카오톡 채널X도달 캠페인에서만 제공

- 공유 버튼 클릭수 : 기본 텍스트형 메시지의 공유 버튼이 클릭된 횟수

- 이미지/동영상 클릭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 이미지형 및 프리미엄동영상형 메시지의 첨부된 이미지나 동영상 또는 캐러셀형 Intro에 첨부된 이미지가 클릭된 횟수

- 텍스트 클릭수 : 와이드 이미지형 메시지의 텍스트가 클릭된 횟수

- 타이틀 클릭수 : 와이드 리스트형 메시지의 타이틀이 클릭된 횟수

- 동영상 재생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 이미지형 및 프리미엄동영상형에 추가된 동영상이 재생된 횟수

- 동영상 N초 재생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 이미지형 및 프리미엄동영상형에 추가된 동영상이 3초 재생된 횟수(N= 3초, 5초, 10초, 15초, 30초, 60초)

- 리스트N 클릭수 : 와이드 리스트형 메시지의 리스트N 영역이 클릭된 횟수(N=1~4)

- 리스트N 재생수 : 와이드 리스트형 메시지의 리스트N 영역에 추가된 동영상이 재생된 횟수(N=1~4)

- 버튼1 클릭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형 메세지의 버튼1 영역이 클릭된 횟수

- 버튼2 클릭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형 메세지의 버튼2 영역이 클릭된 횟수

- 캐러셀N 버튼1 클릭수 : 캐러셀피드형, 캐러셀커머스형 메시지의 N번째 말풍선 버튼1 영역이 클릭된 횟수(N=1~6)

- 캐러셀N 버튼2 클릭수 : 캐러셀피드형, 캐러셀커머스형 메시지의 N번째 말풍선 버튼2 영역이 클릭된 횟수(N=1~6)

- 캐러셀N 쿠폰 버튼 클릭수 : N번째 캐러셀의 쿠폰 버튼이 클릭된 횟수(N=1~6)

- 더보기 클릭수 : 캐러셀피드형, 캐러셀커머스형 메시지의 더보기 버튼 영역이 클릭된 횟수

- 쿠폰 버튼 클릭수 : 기본 텍스트형, 와이드 이미지형, 와이드 리스트형 메시지의 첨부된 쿠폰 버튼이 클릭된 횟수

- 기타 클릭수 : 메시지의 가이드 영역, 카카오톡 채널 홈버튼 등 정의되지 않은 영역이 클릭된 횟수


■ 애드뷰 지표 : 비즈보드 및 채널 캠페인에서만 제공

- 버튼1 클릭수 : 모든 유형 애드뷰의 버튼1 영역이 클릭된 횟수

- 버튼2 클릭수 : 모든 유형 애드뷰의 버튼2 영역이 클릭된 횟수

- 공유 버튼 클릭수 : 모든 유형 애드뷰의 상단 공유 버튼 영역이 클릭된 횟수

- 이미지/동영상N 노출수 : 애드뷰 모든 유형의 N번째 순서에 첨부된 이미지나 동영상이 노출된 횟수N=1~10)

- 동영상N 자동 재생수 : 동영상형, 캐러셀형, 스크롤형의 N번째 순서에 첨부된 동영상이 자동 재생된 횟수(N=1~10)

- 동영상N 터치 재생수 : 캐러셀형, 스크롤형의 두번째 순서에 첨부된 동영상이 터치 재생된 횟수(N=1~10)

- 동영상N 3초 재생수 : 동영상형, 캐러셀형, 스크롤형의 첫번째 순서에 첨부된 동영상이 3초 재생된 횟수(N=1~10)


■ 비즈보드 지표 : 비즈보드 익스팬더블 소재가 등록된 비즈보드 캠페인에서만 제공

- 노출수(확장) : 이미지형, 동영상형, 멀티형의 확장영역이 노출된 횟수

- 동영상 자동 재생수(모션) : 모션 요소 동영상이 자동으로 재생된 횟수

- 동영상 자동 재생수(확장) : 동영상형의 동영상이 자동 재생된 횟수를 의미합니다.

- 동영상 3초 재생수(모션) : 모션 요소 동영상이 3초 재생된 횟수

- 동영상 3초 재생수(확장) : 동영상형의 동영상이 3초 재생된 횟수

- 이미지 클릭수(확장) : 이미지형의 이미지가 클릭된 횟수

- 행동유도 클릭수(확장) : 이미지형, 동영상형의 확장영역 내 행동유도버튼이 클릭된 횟수

- 이미지N 노출수(확장) : 멀티형의 확장영역 내 N번째 요소가 노출된 횟수(N=1~5)

- 이미지N 클릭수(확장) : 멀티형의 확장영역 내 N번째 요소가 클릭된 횟수(N=1~5)


■ 보드 지표 : 스폰서드보드 캠페인에서만 제공

- 채널 홈 클릭수 : 스폰서드 보드 모든 유형의 채널 홈 영역이 클릭된 횟수

- 채널 추가 클릭수 : 스폰서드 보드 모든 유형의 채널 추가 버튼이 클릭된 횟수

- 아티클N 클릭수 : 스폰서드 보드 모든 유형의 N번째 순서 아티클이 클릭된 횟수(N=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