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집행 기준이 궁금합니다.

광고 집행 자격

1) 카카오 키워드광고 심사정책'에 따라 광고주, 광고 소재, 연결화면, 연결화면 자체의 유효성, 적합성, 연관성 등을 검수하고, 위배되는 내용이 있을 시에는 광고 집행이 불가합니다.
2) 카카오 키워드광고 심사정책'에 맞지 않을 경우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법정사전심의 대상인 광고는 해당기관의 사전심의를 받은 경우에만 광고집행이 가능합니다.
4) 사회적인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거나 이용자의 항의가 심할 경우, 집행 중인 광고라도 수정을 요청하거나 중단할 수 있습니다..
5)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개별 서비스의 운영원칙/약관에 따라 특정 광고주의 가입 또는 특정 광고물의 게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고 심사

광고심사는 광고주가 등록한 사이트와 키워드, 광고 소재가 Kakao 키워드광고 심사정책에 따라 노출이 가능한지 심사하는 과정입니다.
1) 비즈채널 사이트에 대한 심사를 진행합니다.
2) 키워드, 광고 소재 및 랜딩URL을 통해 연결되는 화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심사합니다.
3) 연결화면에서의 여러 행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심사합니다.
4) 입력한 정보와 실제 정보의 일치 여부, 업종별 서류 확인, 업종 확인, 사이트 판단, 기타 여러 운영정책에서 정하는 바를 심사합니다.
5) 키워드 및 광고 소재와 랜딩URL의 연관성, Kakao 키워드광고 심사정책의 부합 여부, 완성도, 기타 여러 운영정책에서 정하는 바를 심사합니다.
6) 심사는 광고의 최초 등록 시 및 광고 소재 수정 시 진행되며, 심사승인 이후에도 심사정책 및 개별 서비스 운영원칙/약관에 따라 광고노출이 보류 또는 게재중단 될 수 있습니다.

광고 금지 행위

1)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행위
2) 노출/클릭과 같이 광고의 성과를 변경하거나 부정하게 생성시키는 경우
3) 회사의 이익에 반하는 광고 등을 노출하여, 회사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경우
4) ‘카카오 키워드광고 심사정책’,개별 서비스 운영 원칙/약관,관계 법령을 빈번하고 상습적으로 위반하는 경우
5) 카카오의 정당한 광고수정 등에 응하지 않는 경우
6) 고의적으로 Kakao 키워드광고 심사정책, 개별 서비스 운영원칙/약관, 관계 법령을 악용하는 경우
7) 기타 카카오가 판단함에 있어 서비스의 이용을 방해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