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도움말 검색 결과 (총 71건)

정렬 기준

카테고리 선택

도움말 검색 결과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채팅방 입력창에 "상담원과의 대화가 불가능한 프로필입니다"라고 뜹니다.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하지 않은지, 카카오톡 채널과 챗봇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만약 해당하지 않을 경우 카카오 고객센터를 통해 제보 부탁드리겠습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봇 응답]

    1:1채팅은 유지하되, 상담직원연결 버튼 삭제(제네릭X)가 가능한가요?

    메뉴를 사용하지 않으면 채팅창 우측에 버튼으로 노출 되어, "상담직원 연결" 버튼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1-2) 봇 말풍선에서는 상담 플러그인 버튼을 통해 "상담직원 연결"이 가능합니다제네릭메뉴나 봇 말풍선 2가지중 1가지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2-1) 설정할 경우 봇 제네릭 메뉴에 노출되며 채널관리자센터 > 관리 > 상세설정에서 ON/OFF하여 노출 제어를할 수 있습니다. 2-2) 봇 말풍선에서는 상담 플러그인 버튼을 통해 "상담직원 연결" 이 가능합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봇 응답에서 이미지 등록시 업로드 가능한 확장자가 무엇인가요?

    봇 응답에서 이미지 등록 시, 업로드가 가능한 이미지 파일타입 확장자는 jpg, jpeg, bmp, png입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봇 응답]

    채널 관리자센터의 1:1채팅 상담 상태일때 챗봇도 함께 사용 가능한가요?

    대화모드는 하나만 선택 가능합니다. 1:1채팅을 하고 있을때 사용자는 '챗봇 전환'버튼을 클릭해야 챗봇 모드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파라미터 검증 API란 무엇인가요?

    파라미터 검증 API는 외부와 연결된 스킬서버를 호출하기 파라미터 값을 사전검증 혹은 변환하기 위한 목적의 API 입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플러그인 등록 및 관리]

    사용자가 이미지 보안전송 플러그인을 통해 이미지 전송을 할 때 업로드 가능한 확장자는 무엇인가요?

    사용자가 이미지 보안전송 플러그인을 통해 업로드 가능한 이미지 파일타입 확장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jpg - jpeg - gif - bmp - png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배포 버튼이 보이지 않습니다.

    배포 기능은 해당 챗봇의 마스터만 진행 가능합니다. 마스터가 아닌 경우 해당 봇의 마스터로부터 배포 권한을 부여받아야 사용 가능합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봇 응답]

    시스템 엔티티를 강제로 태깅하려고 하는데 "태깅 대상이 잘못되었습니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시스템 엔티티마다 적용 가능한 단어가 있으며, 이 외 다른 단어에 태깅을 시도할 경우 해당 오류 문구가 노출됩니다.특정 단어에 어떤 시스템 엔티티가 적용 가능한지 여부는 도움말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예를 들어, @sys.time의 경우 1시, 2시 30분, 30초 와 같은 시간에 태깅이 가능하며, '시간' 이라는 단어 자체에는 태깅이 되지 않습니다.※ 챗봇 관리자센터 도움말 ▶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컨텍스트는 최대 몇 개까지 생성할 수 있나요?

    컨텍스트는 최대 200개까지 등록 가능합니다.

  • [챗봇 관리자센터][봇 생성하기][시나리오 등록 및 관리]

    봇리스트에서 BLOCK-Message 배지는 무엇인가요?

    위반 누적 정도에 따라 챗봇의 메시지 발송은 N일간 발송이 불가능합니다. N일이 지나면 봇의 메시지 발송 차단 상태는 해제가 되어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만약 영구적 제한이 된 경우 메시지 발송 차단 해제는 불가능하며 이경우 '카카오톡 채널' 고객센터로 '이용 제한'에 대한 소명절차를 거쳐 해제를 요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이후 해제될 경우 봇 메시지 차단 해제가 되어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